우리차를 마시지 않는 몇가지 이유중에서 가장 많이 이야기되고 있는
것이 차가 가지고 있는 성질이 찬[寒]것으로 혈압이 낮거나 속이냉한
이들이 마시면 해롭다고 한다.
이말은 공론화 되어 있다. 차를 이야기 할때마다 듣는 것으로 아무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고 그러리라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다.
우리 동양에서는 예로부터 어떤 음식물이나 약물에는 각각의 성미가
있어서 어떤것을 음식으로 섭취할 때에나 약으로 사용할때 조화롭게
하여야 한다고 보았다. 그래서 우리의 입을 통해 들어오는 모든 것들을
먼저 그 성비를 분별하고 음식을 조리하거나 약을 조제할 때 기준을
삼았다고 볼 수 있겠다.
쉬운 예를들면 "겨자는 맵고 뜨겁다. 참외는 달고 차다"에서 "맵고
달다"는 맛을 뜻하는 것이고. "뜨겁고 차다"는 성질을 뜻하는 것이다.
한약재를 설명하는 옛 서적 중에서 대표하는 [본초강목]이나 [동의보감]
차의 고전서인 [다경]이나 [동다송][끽다양생기]등에서 차의 성미를
두고 설명하는 것을 보면 대체로 "고감미한[苦甘微寒]- 쓰고 단맛이
있으며 성질은 차다"고 설명하고 있다. 차에 대하여 이야기할 때 보통
이 부분을 인용해 설명하고 있다.
차는 찬 성질이 있으니 속이 냉한 이들은 체질에 잘 안맞고 수족이
냉하거나 저혈압인 사람에게는 안 맞는다고 말합니다. 설득력 있게
다가서는 부분이다. 그러나 차는 차지 않다. 찻잎의 본래 성질은 차[寒]나
차로 만들어진 후에는 그 성질이 평[平]해 진다.
위의 여러 고전에서 이야기하는 것은 차의 본래 성미를 말하는 것으로
우리가 마시는 차로 만들어졌을때의 성미가 아닌것을 아무도 지적하지
않는다.
전통 덖음차 제다법은 본래 그 약재가 가지고 있는 성미를 변화시킨
것처럼 차가 가지고 있는 찬 성질은 평[平]하게 만들기 위한 제다법
이었던 것이다. 원래 차가 가지고 있는 한[寒]한 성질을 변화시켜
누구나 마실 수 있는 차로 만들었던 것이다.
덖음차는 중국이나 일본에도 부초차, 즉 솥에 볶는 차라 했지만
그중에서 유독 우리나라만이 가장 복잡하고 까다로운 제다법이
전해오고 있는 것은 우리 옛 어른들의 섭생의 지혜라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차가 한[寒]하다 말하는 것은 차로 만들어지기 전의
생엽 상태 찻잎의 성미를 두고 하는 말이지 차로 마실 수 있게
제대도 법제한 차는 그 성미가 냉하지 않다는 것이다.
요즘은 시중에 차라는 이름을 달고 제대로 법제하지 않고 판매되고
있는 차가 많은 현실을 볼때 제다인들의 각성을 촉구하지 않을 수
없다.
우리 꽃차산방에서는 비록 녹차가 아닌 각종 산야초 및 꽃차를
법제하는 과정에서 냉한 것들은 반드시 구증구포를 거쳐서 제다를
하고 있는 것이다.
자료참고 : 혜우스님의 다반사
자료편집 : 효제